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58

임상심리사 2급- 심리학개론 필기 기출문제 1. 기억의 왜곡을 줄이는 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반복해서 학습하기 ② 연합을 통한 인출단서의 확대 ③ 기억술 사용 ④ 간섭의 최대화 정답은 **④번 간섭의 최대화**입니다. 기억의 왜곡은 기억의 정확성을 떨어뜨리는 현상입니다. 기억의 왜곡을 줄이는 데 효과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반복해서 학습하기:** 기억을 강화하고, 기억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 **연합을 통한 인출단서의 확대:** 기억을 연합하여, 기억을 더 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합니다. * **기억술 사용:** 기억을 체계적으로 조직하여, 기억을 더 쉽게 기억하고 인출할 수 있도록 합니다. 반면, **간섭은 기억의 왜곡을 증가시키는 요인**입니다. 간섭은 새로운 정보가 기존의 정보를 억제하는 현상.. 2023. 12. 30.
깜짝선물로 받은 백딸기.... 누구냐?....넌 12월달 내 생일을 맞아 선물 받은 딸기 ㅋㅋ 그런데 백설향, 백딸기, 만년설딸기 등 이름도 참 다양하네... 포장을 뜯는순간 안 익은거 아녀? 생각할수 없게 딸기향이 강해서 홀리듯 냄새를 맡게 되는 정말 신기한 흰둥이 딸기 ㅎㅎㅎ 12알이라 금방 먹어 없어지겠지만 ㅠ.ㅠ;; 보관방법을 알아보니 딸기는 물기가 닿으면 빨리 물러지기 때문에 세척하지 않은 상태로 보관해주어야 한다고 한다. 과육이 서로 붙지 않도록 간격을 두고 신문지나 키친타올을 깔고 냉장보관 한다. 12알 모두 단단하고 과육이 좋은것 같아 얼른 식초에 깨끗히 씻어 가족들과 맛있게 냠냠^^~~~ 정말 상상이상으로 달아서 순식간에 딸기가 사라져 버렸다.ㅠ.ㅠ 깜짝선물로 받아서 이맛을 알아버렸으니 이제 중독 될것 같은 딸기 겨울에는 빨간 빨기보다.. 2023. 12. 29.
23년도 마무리를 푸라닭과 함께^^ 오늘은 동네 맛집 소개해볼까 합니다. 오랫만에 지인가족들과 송년회겸 저녁모임을 가져봤는데 종류별로 치킨을 시켜보기는 처음인것 같네요^^. 처음에는 매운거랑 기본적인걸로 시키고 ... ㅎㅎ 마지막은 신메뉴로 마무리를 해봅니다. 집근처에 치킨집은 사막의 오아시스 같은 곳이라는걸 또 한번 느껴보네요^^ 23년도 마무리를 행복하게 보내세요^^ 푸라닭 https://www.puradakchicken.com/ 2023. 12. 28.
임상심리사2급-성격장애 정리편 1. 성격장애로 진단되기 위한 몇 가지 기준 개인의 지속적인 내적 경험과 행동 양식이 그가 속한 사회의 문화적 기대에서 심하게 벗어나야 함 고정된 행동 양식이 융통성이 없고 개인생활과 사회생활 전반에 넓게 퍼져 있어야 함 고정된 행동 양식이 사회적, 직업적 그리고 다른 중요한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심각한 고통이나 기능의 장애를 초래해야 함 양식이 변하지 않고 오랜 기간 지속되어 왔으며 발병 시기는 적어도 청소년기나 성인기 초기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어야 함 2. 편집성 성격장애의 주요 증상과 임상적 특징 편집성 성격장애는 타인의 의도를 적대적인 것으로 해석하는 불신과 의심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 자신에 대한 비난이나 모욕을 잊지 않고 가슴에 담아 두어 상대방에게 보복하는 경향이 있다. 타인의 동기를 악의에.. 2023. 12. 26.
임상심리사2급-실기편 정리2 1. 불안장애를 극복시키기 위한 체계적 둔감법의 3가지 기본단계 1단계:긴장이완 훈련 2단계:불안 위계 목록표 작성 3단계:역조건 형성 - 1단계(체계적 둔감화 단계) 2. 방어기제의 의미 자아가 약하고 미성숙한 자아를 가진 사람이 불안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부분적으로라도 욕구를 충족시킬 방법으로 활용하는 일종의 적응기술이다. 3. 내담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방어기제 유형 5가지 부정 반동형성 승화 투사 퇴행 4. DSM-5의 진단기준 2가지 지속적으로 대부분의 사회적 관계를 시작하지 못하고 발달적으로 적절하지 못한 방식으로 반응한다. 지나치게 억제적이고 경계적이며 심하게 양가적이고 상반된 반응을 나타낸다. 확산적인 애착이 무분별한 사교성을 보이며 적절한 선택적인 애착능력의 결여로 드러난다. 5. 병리.. 2023. 12. 25.
임상심리사2급-실기편 정리1 1. 행위중독(병적도박 등) 행위중독은 행위 작용에 의한 중독으로 도박, 운동, 섹스, 게임, 모바일 폰, 쇼핑, 일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행위중독의 주요기제는 생물학적 이론의 민감화(sensitization)로서, 중독성 물질이나 행위를 반복하면 대뇌변화가 생기는데, 도파민성 대뇌보상회로의 과민에 의해 효과가 점차 증가된다. 이러한 즐거움이 긍정적 강화로 작용하여 의존이 발생하며, 민감화로 인해 중독성 물질이나 행위로 인한 보상의 정도가 커져서 초기 양으로 만족 못하는 내성이 일어난다. 중독성 물질이나 행위를 추구하고 조절력을 상실하게 되고, 이를 중단하면 불안과 흥분이 발생하는 금단 현상이 일어난다. 2. 전화상담 전화상담에서 가장 중심이 되어야 하는 활동은 위기상황에 대한 판단이다. 그 이유는 전.. 2023. 12. 20.